“우리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우리의 이 아픈 역사가 잊혀지는 것입니다.”
김진덕정경식재단은 SF코윈, SV한인회 등 북가주 한인단체들과 함께 3.1운동 무대인 삼일대로(안국역-탑골공원 후문) 시민공간 조성사업 참여운동을 범동포적으로 전개했습니다.
기림비가 세워지기 까지
샌프란시스코의 중심에 위치한 세인트 메리 스퀘어에 2017년 9월 22일 2차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동원된 성노예 피해자 ‘위안부’를 기리는 기림비가 세워졌습니다. 이 기림비는 다시는 아픈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고 인권을 수호한다는 목적에서 세워졌습니다.
우리는 ‘위안부’를 위한 기림비는 일본 정부에 의해 세워져야 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본은 자신들의 과오를 덮기에 급급했고 심지어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 성매매자로 몰아붙이며 역사의 진실을 외면했습니다. 일본 정부의 이런 태도는 한국을 비롯한 ‘위안부’ 피해국들의 공분을 샀고 샌프란시스코에서도 한국과 중국, 필리핀, 네덜란드 등 피해 당사국은 물론 일본 단체들까지 모두 13개 커뮤니티가 함께 나서 ‘위안부’ 기림비 건립을 시작했습니다. 역사의 진실을 바로 알리기 위해서 입니다.
"Comfort Women" is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s euphemism for the women and children they trafficked as sex slaves between 1932 and 1945 during World War II. Most of the victims were Korean, although many also came from China, the Philippines, Indonesia, the Netherlands, Burma, Thailand, Vietnam, Malaysia, Australia, East Timor, Hong Kong, and Macau. While some were recruited by false advertisements promising work as house maids, factory workers and the like, the majority were abducted and violently coerced into sexual slavery for Japanese soldiers at government sponsored stations intended to improve army morale. It is estimated that some 400,000 women and children were forced to be sex slaves for Japanese soldiers and officers at these government-sponsored stations. The "Comfort Women" were often kept in sub-human conditions and suffered from starvati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use, disease, infections, and rampant STD's. Only about 25% of the victims survived the end of the war. Many had already died from their conditions and many more were executed before Allied troops would be able to find evidence of their existence. Along with their bodies,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ed to destroy all documentation and evidence that the "Comfort Women" had ever existed.
The survivors returned home bearing heavy burdens of psychological distress, physical ailments, and shame. Many lived out their days ostracized from family and community. Not until the 1990's did their stories begin to surface publicly. In 1990, the Republic of South Korea began to ask for amend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n 1991, Hak-sun Kim, a Korean "Comfort Woman", became the first to share her story publicly. That year, the Japanese government publicly acknowledged that "Comfort Women" stations did exist during World War II. But since that time, especially during the governance of Japan by Prime Minister Abe Shinzo, there has been continuous disagreement and unrest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victim communities about coming to fair and just terms of resolution. Gradually, monuments for the "Comfort Women" are being built around the world to memorialize the victims and their communities and to educate new generations of the dangers of warfare and a global responsibility to protect human rights. The "Comfort Women" Memorial in the City of San Francisco was spearheaded by Korean, Chinese, and Filipino activists and philanthropists and is the first of its kind to be co-created by the 13 victim communities. Plans are underway to build sister statues in major cities of many of the former victim counties.
“1931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태평양 13개국 여성과 소녀 수십만 명이 일본군에 의해 이른바 ‘위안부’로 끌려가 고통을 당했다.”
SF ‘위안부’ 기림비 의미
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는 미국내 대도시에서는 처음으로 세워진 기림비 입니다. 샌프란시스코 시의원 11명중 7명이 참여해 ‘위안부’ 기림비 건립을 위한 결의안을 발의했고, 2015년 9월 14일 시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습니다. 그동안 ‘위안부’ 소녀상이 미국의 곳곳에 세워지긴 했지만 시의회에서 결의안을 통해 건립된 기림비는 샌프란시스코가 유일합니다.
또한 ‘위안부’ 기념사업은 가장 많은 피해자가 보고된 한국의 주도로 진행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샌프란시스코에서는 한국은 물론 중국과 필리핀, 네덜란드, 일본 등 모두 13개 커뮤니티가 참여했습니다. 2차대전 당시 홀로코스트로 수 많은 인명이 학살된 기억을 가진 유태인 커뮤니티도 동참했습니다. 지금까지 ‘위안부’ 기림사업에서는 최대 커뮤니티가 참여한 것입니다.
북가주 지역 한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북가주 지역 한인들은 ‘위안부’ 기림비 건립에 필요한 금액을 모금하는데 적극 동참했습니다. 너 나 할 것 없이 역사의 진실을 알리는 일에 함께 했습니다. 북가주 지역 한인들의 참여가 없었다면 기림비는 건립되지 못했을 것입니다.
San Francisco’s “Comfort Women” Memorial
Stands for Victims of Sex Trafficking Saint Mary’s Square, SF
On September 22nd, just two weeks before the “Me Too” movement,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and “Comfort Women” Justice Coalition inaugurated a monument in San Francisco dedicated to the victims of one of the largest and least known sex trafficking scandals of the 20th century—the “Comfort Women” sex slaves of World War II. These young girls, boys, and women from 13 countries were abducted and forced into sex servitude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Many did not survive the brutal conditions they were kept in, and many more were systematically murdered before Allied Forces could discover them. Those few who remain are in their final years, still carrying the mental, emotional, and social trauma of their enslavement. The courageous Kim Hak-Sun is one of the rare survivors and the woman who broke nearly a half century of silence in August of 1991 to share her story publicly. Now, 27 years later, swept up in the maelstrom of the “Me Too” movement, the world is just beginning to wake up to the enormity of what happened to the “Comfort Women.”
It is the wish of all survivors,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and the sponsors of the memorial that the “Comfort Women” find peace and that their hard- ship be a cautionary tale for generations to come. As stewards of this monument, it is our intention to honor the sacrifices of the “Comfort Women” in ever widening circles. We hope that in so doing, we can be a voice of hope in the darkness for those 4.5 million women, children, and men who live as sex slaves today and for those countless others who live with painful memories and fear of sexual aggression. Knowledge is power, and the more we share the tragic story of the “Comfort Women,” the more chances we have to help victims of sex trafficking in the world today.
Your choices matter. Many of you have donated to make this memorial a reality, and you have bravely taken responsibility for creating a better world for our children. As awareness of the “Comfort Women” grows in tandem with the “Me Too” movement, you will know that you too created this global shift in equality and human rights. Knowledge is powerfully preventative, and this is what we’re here to do—to mobilize knowledge and reverse human trafficking, the fastest growing crime against humanity today.
Thank you to every single donor and supporter. Your voice and your contribution matter. Thank you to the “Comfort Women” Justice Coalition and especially to chairwomen Judge Lillian Sing and Judge Julie Tang, the visionaries of this memorial. Thank you to Congressman Mike Honda and Commissioner Eric Ma for unwavering support. And thank you to the esteemed leadership of the Republic of South Korea. It is time “We Too” are given a voice.
기림비 의미 널리 알리겠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가 건립된 뒤 매년 9월 22일이면 세인트 메리 스퀘어에서 기념식이 열립니다. 기림비 건립은 물론 기림비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기림비 건립 이후 북가주 지역 한인들은 물론 미주지역과 한국, 세계 각지에서 기림비를 보기위해 방문을 하십니다. 매우 뜻깊은 일입니다.
샌프란시스코 시의회에서 통과된 결의안에는 기림비를 세우는 것 외에 한가지 더 의미있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바로 교육을 통해 ‘위안부’를 후세들에게 가르치는 것입니다. 떠올리기 조차 쉽지 않은 과거의 만행을 배우며 다시는 이런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자는 샌프란시스코 시의회의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주 교육부에서도 2016년 ‘역사・사회 교육과정 지침 개정안’에 일본군 ‘위안부’를 포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캘리포니아주 교육부가 이같은 결정을 하는데에는 북가주 지역에서 한인 2세들의 뿌리교육에 헌신하고 있는 ‘재미한국학교 북가주 협의회’ 소속 선생님들의 수년간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San Francisco soon to be home to landmark Comfort Women Memorial
During the Second World War, young girlsfrom Korea, China, the Philippines, Vietnam, and the Netherlands were abducted from their homes and enslaved as sex workers for the Japanese army. These young women and families who survived derelict conditions, starvation, torture, and the horrors of war would never recover. Shame and trauma haveshadowed their lives and left deep impressions upon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This collective wound is now asking to be seen, heard, and healed. Thanks to the impassioned vision and work of the San Francisco Bay Area communities, their story is being transformed into empowerment for future generations.
•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Korean, Chinese, and Filipino communities are joint sponsors of a Comfort Women memorial, and it’s happening here in our very own City of San Francisco.
• The Comfort Women Justice Coalition, chaired by Judge Lillian Sing and Judge Julie Tang, has been particularly instrumental in making this memorial a reality. City Commissioner Eric Mar has also been an indispensable champion of our cause.
• Every single donor is an essential voice, creating a future that will look with reverence to the Comfort Women as reason to ensure human rights for all.
With thanks to all of you for making this memorial possible,
Jonathan H. Kim, Chairman
Jin Duck & Kyung Sik Kim Foundation
서울 ‘위안부’ 기림비 건립
2019년 8월 14일에는 매우 뜻깊은 행사가 서울에서 열렸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의 뜻을 잇는 서울 ‘위안부’ 기림비가 남산에 세워진 것입니다.
조국사랑과 한인사회 후원이 각별하셨던 김진덕 회장, 정경식 여사의 유훈을 받들어 세운 김진덕・정경식 재단의 이름으로 평화와 인권수호의 상징물인 서울 ‘위안부’ 기림비를 서울시에 기증한 것은 부모님의 가르침과 유지를 이어가는 일이었습니다.
서울 ‘위안부’ 기림비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고통과 투쟁, 용기를 기억하고 평화와 정의를 기원하며, 후세대의 인권의식을 높이고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동상이 세워진 곳은 남산의 옛 조선신궁터로 이 지역은 일제 침달의 아픔을 간직한 곳으로 인근에 안중근의사기념관과 안중근 의사 동상, 백범 김구 선생 동상, 한양도성 현장유적박물관이 위치해 있어 미래를 이어갈 우리 후세들의 역사교육에도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김진덕・정경식 재단은 서울에 기림비를 세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 건립에 참여한 13개 커뮤니티의 모든 나라에 기림비가 세워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갈 것입니다.
서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 작품 명칭 공모
서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는 피해사실을 최초 증언하신 고(故)김학순 할머니가
한국·중국·필리핀 세 소녀를 바라보는 모습을 실물 크기로 표현했습니다.
시민들과 손을 맞잡아야 완성되는 이 기림비처럼 많은 분들과 함께
일본군성노예제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나아갔으면 합니다.
기림비는 샌프란시스코 '위안부' 기림비의 자매기림비로 8월 14일 제막식을 통해
조선신궁터 부근(남산도서관 옆 회현동1가 100-266)에 세워졌으며,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과 서울타워로 향하는 계단 사이에 있습니다.
서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 명칭 공모에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공모개요 -
1. 공 모 명 : 서울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비 작품 명칭 공모
2. 공모기간 : 2019. 8. 16.(금) ~ 11. 30.(토)
3. 응모자격 : 제한없음
4. 응모방법 : 정의기억연대 홈페이지(http://www.womenandwar.net)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war_women@naver.com)로 접수
5. 시상금 : 1등 500,000원, 2등 300,000원, 3등 200,000원 및
1,2,3등 모두에게 작은소녀상 1기와 정의기억연대 동행팔찌 7종 수여
※ 김진덕.정경식 재단(JIN DUCK & KYUNG SIK KIM FOUNDATION)에서는 1등 당선자가 외국에서 나올 경우 한국 현판식 참석 체류비용 지원, 한국에서 1등 당선자가 나올 경우 샌프란시스코로 초청 예정
6. 심사 및 결과발표 : 2019. 12월 중 홈페이지 게시 및 당선자 개별 통지
7. 유의사항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동일 명칭이 제출된 경우 먼저 접수한 명칭이 우선함
※ 기림비와 함께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어 인증샷을 보내주시면, 추후 선정과정을 거쳐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 이 사업은 서울시보조금지원사업입니다.
문의: 정의기억연대(02-365-4016, war_women@naver.com)
- 파일 다운로드 받기
3.1 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관련보도
2018년 12월 7일 한국일보 보도 김진덕정경식재단 주도 ‘3.1운동 100주년 참여사업’ 기사보기 ▶︎
2018년 11월 17일 한국일보 보도 “3.1운동 100주년 의미 새긴다” 기사보기 ▶︎
2019년 9월 10일 한국일보 보도 ‘위안부기록물’ 유네스코 등재 촉구 기사보기 ▶︎
2019년 5월 30일 한국일보 보도 김진덕정경식재단 '유네스코 등재촉구 서명운동' 기사보기 ▶︎
2019년 4월 27일 한국일보 보도 위안부자료 유네스코 등재촉구 청원운동 출정식 기사보기 ▶︎
2019년 4월 5일 한국일보 보도 김진덕정경식재단, 위안부 기록물 유네스코 등재촉구 청원운동 기사보기 ▶︎
‘위안부’기림비 보도 관련기사
2019년 9월 24일 한국일보 보도 SF위안부 기림비 2주년 기념식 기사보기 ▶︎
2019년 9월 21일 SF위안부 기림비 2주년 기념식 열린다 기사보기 ▶︎
2019년 9월 14일 SF위안부기림비 2주년 기념식 예고 기사보기 ▶︎
2019년 8월 24일 한국일보 보도 서울위안부기림비에 '숨어있는 비밀' 기사보기 ▶︎
2019년 8월 16일 한국일보 보도 [서울 위안부기림비 제막식] SF-서울 잇는 상징물로 역사의 진실 전해 기사보기 ▶︎
2019년 8월 13일 한국일보 보도 SF위안부기림비 '마침내 서울에 세운다' 기사보기 ▶︎
2019년 5월 28일 한국일보 보도 중국계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추모제 기사보기 ▶︎
2019년 4월 12일 한국일보 보도 김진덕정경식재단, 서울시에 기림비 축소모형상 전달 기사보기 ▶︎
2019년 3월 14일 한국일보 보도 밀브레 시의회 '위안부 결의안' 채택 기사보기 ▶︎
2019년 2월 5일 한국일보 보도 김진덕정경식재단 주최 ‘김복동 할머니 추모제’ “이젠 우리가 싸우겠습니다” 기사보기 ▶︎
2019년 1월 12일 한국일보 보도 한국 국회의원단*성남시대표단 ‘SF위안부기림비’ 참배 헌화 기사보기 ▶︎
2018년 11월 6일 한국일보 보도 귀향 2’ 상영회*서해성 작가 강연회 기사보기 ▶︎
2018년 10월 26일 한국일보 보도 김진덕정경식재단 SF위안부기림비 1주년 행사 “항일 역사정신 계승한다” 기사보기 ▶︎
2018년 10월 5일 한국일보 보도 고종 친손자 이석 황손 ‘김학순 할머니 동상 참배’ 기사보기 ▶︎
2018년 10월 5일 한국일보 보도 오사카·SF시 자매결연 파기 성토 기사보기 ▶︎
2018년 9월 26일 한국일보 보도 [화보] SF 위안부 기림비 1주년 기사보기 ▶︎
2018년 9월 25일 한국일보 보도 [SF 위안부기림비 1주년 기념행사] “증오,폭력 맞서는 평화 연대” 기사보기 ▶︎
2018년 9월 12일 한국일보 보도 ‘위안부기림비’ 빌보드로 인권 소중함 알린다 기사보기 ▶︎
2018년 9월 6일 한국일보 보도 위안부 피해자 사진전 기사보기 ▶︎
2017년 11월 28일 한국일보 보도 SF위안부기림비 시유지 승인에 오사카 시장 자매결연 파기 기사보기 ▶︎
2017년 11월 23일 한국일보 보도 아베 압박에도 기림비 승인 기사보기 ▶︎
2017년 10월 7일 한국일보 보도 [화보] SF위안부기림비 제막식 기사보기 ▶︎
2017년 9월 27일 한국일보 보도 베이브릿지 인근에도 위안부기림비 대형 빌보드 기사보기 ▶︎
2017년 9월 25일 한국일보 보도 SF위안부기림비 제막식 리셉션 이모저모 기사보기 ▶︎
2017년 9월 23일 한국일보 보도 위안부 기림비 SF 중심부에 우뚝 서다 기사보기 ▶︎
2016년 11월 22일 한국일보 보도 SF위안부 기림비 건립 기금 전달 기사보기 ▶︎
2016년 8월 13일 한국일보 보도 “한인사회 엄청난 괴력 발휘했다” 기사보기 ▶︎
2016년 3월 8일 기림비 모금에 한인단체 하나 된다 기사보기 ▶︎